■ Q. 디지털 가상자산 거래 관련 사칭 주의 안내
빗썸은 투자자 보호를 위해 주기적으로 전기통신금융사기 및 이용자 피해 예방을 위한 유의사항을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 빗썸은 전기통신금융사기 등의 피해 및 상장 사기 등을 예방하고자 아래와 같은 안내 등을 통해 투자자 보호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빗썸 사이트 사칭 사례
최근 빗썸 사이트를 사칭한 사기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별도의 SNS 채널이나 브로커 등을 통한 상장 신청을 불가합니다.
※ 빗썸은 공정한 상장 심사를 위하여 독립적인 상장심의위훤회를 두고 있고, 상장을 대가로 한 수수료 등 비용을 일체 요구하지 않으며,
상장 관련 불법행위의 예방 및 조치를 위하여 제보 채널(Whistle@bithumbcorp.com)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빗썸 도메인은 @***.co.kr이 아닌, @***.com이며, 빗썸 사칭 메일 수신 시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빗썸 이메일 및 SNS 사칭 사례
최근 이메일 및 소셜 미디어(SNS)를 통해 빗썸을 사칭한 사기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 빗썸 도메인은 @***.co.kr이 아닌, @***.com이며, 빗썸 사칭 메일 수신 시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빗썸 SMS 사칭 사례
최근 문자메시지(SMS)를 통해 빗썸을 사칭한 사기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 SMS를 통한 스미싱 시도가 이뤄지고 있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스미싱: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문자메시지 내 인터넷 주소 클릭 시 악성코드 설치 등으로 개인/금융 정보를 탈취하는 유형
■ 빗썸 임직원 사칭 사례
최근 빗썸 임직원을 사칭하여 투자 리딩방 손실 보장, 개인정보 유출 보상, 이벤트 당첨 명목 등을 통해 특정 가상자산으로 보상해 주겠다는 사기 시도가 발생하고 있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 빗썸은 어떠한 경우에도 이메일 및 메신저로 가상자산 보상 안내를 드리거나 판매하지 않습니다.
기타 관련 피해 신고나 문의는 빗썸 고객센터(1661-5566)로 즉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회원님의 자산 보호와 더욱 안전한 거래를 위해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빗썸이 되겠습니다.
* 디지털 가상자산거래 관련 사칭 사례에 대해서는 공지사항「빗썸 사칭 주의 안내」를 통해 최신 업데이트된 사례들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